•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음식점 운영하신다면 의제매입세액 공제제도로 환급받으세요

by.회계세무인사이트 Post 👍

음식점 운영하신다면 의제매입세액 공제제도를 통해서 환급을 받으실 수 있어요!

음식업을 운영하는 사업자는 농산물 등을 구입하여 가게를 운영하는데요, 이 농산물 등을 구입하는 금액에 대해서 매입세액을 공제 받을 수 있다는 겁니다.

다만, 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계산서를 철저히 챙기셔야 해요!

이 포스팅에서는 음식점을 운영하는 사업자가 의제매입세액 공제제도를 통한 매입세액 공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식당을 운영하신다면 의제매입세액 공제제도로 환급받으세요
식당을 운영하신다면 의제매입세액 공제제도로 환급받으세요

의제매입세액 공제제도란?

의제매입세액 공제제도란?
의제매입세액 공제제도란?

부가가치세의 납부 세액은 부가가치세 신고를 통하여 납부하게 되죠.
이 때 납부 세액은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을 공제 하여 계산하게 됩니다.

부가가치세 신고방법에 대하여 궁금하시다면 자세히 설명 된 아래의 가이드를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또 다른 공제제도를 확인해 보시고 환급대상이 되는지? 환급이 되는지? 알아보세요.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농,축,수,임산물 등의 원재료를 구입하여 제조 및 가공하는 경우 부가가치세가 과세 되는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사업자는 원재료를 구입 시 직접 부담 부가가치세는 없지만, 한도액 내에서 그 구입 가액의 일정률에 해당하는 금액을 매입세액으로 의제하여 공제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어요.

이러한 제도를 ‘의제매입세액 공제제도’라고 합니다.

의제매입세액 공제한도액은?

의제매입세액 공제한도액은?
의제매입세액 공제한도액은?

의제매입세액 공제한도액은 법인사업자와 개인사업자의 기준이 다릅니다. 아래의 내용을 읽어보세요.

법인사업자

해당 과세기간에 공급하는 면세 농산물 등과 관련 된 사업에 대한 과세표준의 30%에 공제율을 곱한 금액
※ 2023년 12월 31일까지는 과세표준의 50%의 공제율입니다.

개인사업자

개인사업자 中, 음식업을 하는 사업자의 경우 아래의 표와 같은 공제한도액이 반영됩니다.
※ 2023년 12월 31일까지는 과세표준 기준입니다.

▶ 음식업종 기준

과세표준 공제율
1억원 이하 75%
1억원 초과 ~ 2억원 이하 70%
2억원 초과 60%

▶ 기타업종 기준

과세표준 공제율
2억원 이하 65%
2억원 초과 55%

의제매입세액 공제요건?

의제매입세액 공제요건?
의제매입세액 공제요건?

의제매입세액 공제요건은 일반과세자가 부가세를 면제받는 재료(농축수임산물 등)를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을 할 때 부가세가 과세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어요.
※ 음식점 및 제조업을 하는 간이과세자는 2021년 6월 30일 이전에 공급 받거나 수입신고하는 분까지 적용할 수 있습니다.

면세농산물 등 공제대상 원재료 요건

1) 원료와 재료가 재화를 형성
2) 재화 형성이 안될 경우 해당 재화의 제조 및 가공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것(화학반응을 하는 물품)
3) 재화의 제조 및 가공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단용 원자재
4) 용역창출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원료 또는 재료

면세농산물 등 의제매입세액 공제요건

1) 부가가치세 면세로 공급받은 농,축,수,임산물
2) 농산물 등을 원재료로 재화를 제조 또는 가공하거나 용역을 창출
3) 제조 또는 가공한 재화나 창출한 용역의 공급이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인 경우
4) 부가가치세 과세사업자(사업자등록을 한)

의제매입세액 공제액 계산은?

의제매입세액 공제액 계산은 법인 및 개인에 따라 다르고, 업종유형에 따라 달라요. 자세한 사항은 아래에서 확인 알아볼게요!

✅ 음식점업자

법인 : 면세구입 농산물 등의 가액 x 6/106

개인 : 면세구입 농산물 등의 가액 x 8/108

✅ 제조업자 中 과자점업, 도정업, 제분업, 떡류 제조업 중 떡방앗간 경영하는 개인

면세구입 농산물 등의 가액 x 6/106

✅ 그 외 제조업 中 중소기업 및 개인

면세구입 농산물 등의 가액 x 4/104

✅ 개인사업자 중 과세표준 2억원 이하

면세구입 농산물 등의 가액 x 9/109
※ 단, 2023년 12월 31일 까지

✅ 음식점업자 외

면세구입 농산물 등의 가액 x 2/102

마치며

의제매입세액 공제제도를 받기 위해서는 위에서 설명 드렸던 것과 같이 공급 받은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구입한 것이 면세사업자로부터 구입 된 원재료여야 하는 것 기억하세요!

그리고 제조업의 경우에는 농어민으로부터 직접 구입하더라도 의제매입세액을 공제 받을 수 있다는 사실도 기억하면 좋을 듯 합니다.
다만, 이 경우 ‘의제매입세액공제신고서’를 제출하셔야 한답니다.

알면 공제를 받을 수 있는 의제매입세액 공제제도를 해당되시는 분이라면 적극적으로 활용하신다면 절세를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됩니다.

이 포스팅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이 포스팅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더 유익한 포스팅으로 찾아뵐게요, 🙏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