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재고매입세액?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로 변경 시 공제받아요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로 전환되는 사업자는 전환 당시에 보유하고 있는 재고품 및 감가상각자산에 대하여 ‘재고매입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일반과세자로의 전환은 사업자가 신청하여 할 수도 있지만, 간이과세자를 계속 유지할 수 없는 기준에 해당 된다면 자동으로 전환이 되기도 한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로 전환 될 경우 보유 재고품이나 감가상각자산에 대한 재고매입세액 공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재고매입세액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로 변경 시 공제받아요
재고매입세액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로 변경 시 공제받아요

재고매입세액이란?

재고매입세액이란?
재고매입세액이란?

재고매입세액이란 재고납부세액의 반대라고 설명할 수 있어요.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로 변경되는 경우(신청할 수도 있지만, 간이과세자 기준을 넘어선 경우 자동으로 전환) 신고한 재고품이나 건설중인자산, 감가상각자산에 대하여 재고매입세액신고를 한 후 관할세무서장의 승인을 얻은 날이 속하는 예정신고기간 또는 확정신고기간의 매출세액에서 공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도입니다.

예를들어, 간이과세자일 때 공급대가의 0.5%(21년 6월 30일 이전 수취 ▶ 매입세액의 부가율)만큼 공제를 받게 되는데요, 이 부분이 일반과세자로 인식(공급가액의 10%)되었을 경우에 공제받지 못한 부분이 생기죠? 그 부분을 추가로 공제해 주는 것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어요.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의 차이점은 아래의 포스팅에서 알아보세요.

재고매입세액 공제대상 3가지?

재고매입세액 공제대상 3가지
재고매입세액 공제대상 3가지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로 전환될 때 이전의 모든 매입세액에 대하여 공제를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아래의 3가지에 해당하는 부분만이 재고매입세액 공제대상이 되요.

재고품

재고품에는 원재료, 부재료, 상품, 제품, 반제품, 제공품 등이 있어요.
여기서 반제품 및 재공품이란? 제조업을 예를 들면 제조에 투입되었지만 완성되지 않은 중간단계의 제조중인 재고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재고매입세액 계산방법

<2021년 6월 30일 이전 수취분>
재고품의 재고금액 x 10/110 x (1-당해업종 부가율)

<2021년 6월 30일 이후 수취분>
재고품의 재고금액 x 10/110 x (1-0.5% x 110/10)

건설중인자산

✅ 재고매입세액 계산방법

<2021년 6월 30일 이전 수취분>
해당 건설중인 자산과 관련된 공제대상 매입세액 x (1-당해업종 부가율)

<2021년 6월 30일 이후 수취분>
해당 건설중인 자산과 관련된 공제대상 매입세액 x (1-0.5% x 110/10)

감가상각자산

재고매입세액 공제가 가능한 감가상각자산의 기준은 10년 이내의 건물 및 구축물, 2년 이내의 기타 감가상각자산입니다.

✅ 재고매입세액 계산방법

<2021년 6월 30일 이전 수취분>

▶ 취득자산
건물 or 구축물의 취득 공급대가 x (1 – 10/100 x 경과 과세기간 수) x 10/110 x (1 – 당해업종 부가율)
그 외 감가상각자산 취득 공급대가 x (1 – 50/100 x 경과 과세기간 수) x 10/110 x (1 – 당해업종 부가율)
※ 여기서 공급대가는 공급가액과 VAT를 합한 실제 지출액입니다.

▶ 자체 제작자산
건물 or 구축물의 공제대상 매입세액 x (1 – 10/100 x 경과 과세기간 수) x (1 – 당해업종 부가율)
그 외 감가상각자산 공제대상 매입세액  x (1 – 50/100 x 경과 과세기간 수) x (1 – 당해업종 부가율)

<2021년 6월 30일 이후 수취분>

▶ 취득자산
건물 or 구축물의 취득 공급대가 x (1 – 10/100 x 경과 과세기간 수) x 10/110 x (1 – 0.5% x 110/10)
그 외 감가상각자산 취득 공급대가 x (1 – 50/100 x 경과 과세기간 수) x 10/110 x (1 – 0.5% x 110/10)
※ 여기서 공급대가는 공급가액과 VAT를 합한 실제 지출액입니다.

▶ 자체 제작자산
건물 or 구축물의 공제대상 매입세액 x (1 – 10/100 x 경과 과세기간 수) x (1 – 0.5% x 110/10)
그 외 감가상각자산 공제대상 매입세액  x (1 – 50/100 x 경과 과세기간 수) x (1 – 0.5% x 110/10)

일반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방법은 아래의 가이드를 참고하시면 좋아요!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방법은 아래의 가이드를 참고하시면 좋아요!

재고매입세액의 신고는?

재고매입세액의 신고는?
재고매입세액의 신고는?

재고매입세액의 신고는 간이과세사업자에서 일반과세사업자로 변경되는 경우 변경되는 날 현재에 있는 재고품과 건설중인자산, 감가상각자산(기준충족)에 대하여 일반과세자로 전환시의 재고품등 신고서를 작성해서 변경되는 날의 직전 과세기간에 대한 신고와 함께 관할세무서장에게 신고해야 합니다.

재고매입세액 관련 법규?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
Scroll to Top